본문 바로가기
💊 “피임약 먹고 얼굴이 마비됐어요” — 흡연 여성, 피임약, 뇌졸중 그리고 PFO 최근 한 20대 여성이 피임약을 복용한 뒤 갑자기 얼굴 한쪽이 마비되어 뇌졸중 진단을 받았다는 뉴스가 화제가 되었죠.👉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63720?ntype=RANKING&cds=news_my_20s "피임약 먹고 죽을 뻔했다" 20대女, 얼굴 한쪽 축 처져 '날벼락' [헬스톡]건강했던 20대 여성이 피임약을 복용했다가 뇌졸중을 겪은 사실이 전해졌다. 16일 영국 일간 더선에 따르면 25세 여성 홀리 맥커미시는 새로운 경구 피임약 '마이크로가이논 30(Microgynon 30)'을 복용n.news.naver.com “젊은 사람에게 뇌졸중?” “피임약 때문이라고?” 사실입니다. 특히 흡연 여성이라면, 에스트로겐이 포함된 피임약 복용이 뇌졸중 위.. 2025. 6. 16.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일들 Dopamine(도파민)은 뇌신경 세포의 흥분 전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Dopmaine 수치가 올라가면 과흥분 상태임으로, 조현병 환자에게서 흔히 보이는 환각(환청, 환시), 망상장애가 관찰되게 된다. 반대로 수치가 내려가면 저자극 상태이므로, 파킨슨병과 같은 증상이 보이게 된다. 수치가 낮을 때는 L-Dopa와 같은 도파민 전구체를 투여한다. 높을 때는 주로 항정신병 약물을 일단 처방한 뒤, 수액 치료 등을 통해 배설을 시켜 수치가 내려가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약 용량 조절에 실패했을 시 파킨슨증과 같은 추체외로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그때는 다시 약 용량을 조금씩 줄이며 부작용 감소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Serotonin(세로토닌)은 감정, 공격성, 각성, 수면, 강박과 관계된 신.. 2025. 6. 16.
🧠 뇌영양제, 정말 효과 있을까? 요즘 뇌영양제로 통칭되는 약품들이 인기가 많죠... 의사 입장에서도 이걸 어디까지 처방해줘야 하나 고민이 많으실테고, 환자분들 입장에서도 어디까지 효과가 있는건지 긴가민가 한 분들이 많을 듯합니다. 정리해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은행잎 추출물(Ginkgo biloba), 콜린 알포세레이트(Choline alfoscerat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은 치매 또는 인지저하에 쓰이는 보조 성분입니다. 일부는 임상근거가 있으나, FDA 등에서 치료제로 인정받지 못한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 깊은 사용과 의학적 판단이 필요합니다.🌿 1. Ginkgo biloba (은행잎 추출물) 기능: 혈류 개선, 신경보호, 항산화, 항염증 효과성분: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임상근거:Don.. 2025. 6. 15.
치매 환자의 행동제어 (BPSD) 치매 환자의 행동 문제,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는 참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BPSD는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의 약자로, 치매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행동 및 정신 증상을 의미합니다. 불안, 초조, 배회, 망상, 환각 등 다양한 증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가족에게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BPSD는 치매 환자를 요양원에 입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무작정 sedation 하는게 능사는 아니나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아예 비약물적인 치료로 잠재우기는 쉽지 않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2021년 출간된 요양병원입원 노인환자 항정신병약물 사용 지침서 핸드북을 정리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문제 행동.. 2025. 6. 15.
치매의 약물치료과 급여기준 약물 치료Cholinesterase inhibitor 1. Donepezil : 하루 5 mg의 용량으로 시작하여 4-6주 후에 10mg의 용량으로 증량하여 사용. 취침 전 복용이 원칙이지만 꿈을 많이 꾸는 경우 아침 복용으로 처방 가능. 위장장애의 부작용이 흔하여 20-30%의 환자에서 N/V, 위산분비 많아지고 분비물 많아지는 등 콜린성 부작용 보이기도. 부작용 심하면 2.5로 시작하여 증량하거나 3mg 제형있으면 사용. 또한 일주일 2번 적용하는 패치 (87.5=경구 5, 175mg=경구 100)도 경구 어려우면 사용. 일부 부정맥 일으킬 수 있어 EKG. 간기능, 신장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 필요하지 않으나 85세 이상 저체중 여성환자는 5mg 이상 쓰지 않도록. *급여기준 : MMSE 26.. 2025. 6. 15.
CDR 계산하기 진단 이후 중증도 평가시 CDR, GDS가 되는데, CDR은 기억력, 지남력, 판단력과 문제해결 능력, 사회활동, 집안 생활과 취미, 위생 및 몸치장 등 총 6가지 영역의 기능을 평가합니다. 기억력 항목을 기준으로 한 전체 CDR 점수를 결정하여 제시하죠. 기억력 점수를 기준으로 전체 CDR (Global CDR, 0, 0.5, 1, 2, 3점)을 결정. ‘0’점은 치매가 아니며, ‘0.5’점은 치매가 의심되거나 매우 경증의 치매, ‘1’점은 경증 치매, ‘2’점은 중등도 치매, 그리고 ‘3’점은 중증 치매를 의미. 이게 스코어링하는게 아주 복잡해 보이나, 근처 점수가 많은 쪽으로 점수가 기운다고 생각하면 그나마 이해하기 쉽습니다. 나머지 다섯 분야에서 더 많은 점수가 차지하는 쪽으로 기운다고 생각하.. 2025. 6. 15.
치매의 의학적 진단 (2018 NIA-AA GUIDELINE / ATN grouping) 치매의 진단병리학적으로는 neuritic plaque, neurofibrillary tangle 두 가지 병리 소견을 특징으로환자의 인지장애가 일상생활의 지장을 초래할 때 진단 가능 인지장애 + ADL 이상으로만 진단하는건 정확도가 낮아 2018년 NIA-AA (National Institute on Aging and the Alzheimer's Association (NIA-AA) guidelines) Guideline (ATN grouping) 도입 A : Amyloid deposition, T : Tau, N : NeurodegenerationN 없어도 A+T+ 면 AD로 진단가능 (N은 보조적 느낌)A+T-N+ 는 Alzheimer’s and concomitant suspected non-Alzh.. 2025. 6. 15.
🩺 DNR로는 부족합니다 — 요양병원에서 꼭 알아야 할 연명의료결정제도 총정리 🪦 왜 이 글을 쓸까요?요양병원에서 일하다 보면, 어느 순간 환자의 생명이 꺼져가는 찰나에 중요한 결정을 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가장 많이 나오는 말은 “DNR 썼어요.”하지만 요즘은 이 말이 의료진에게 아무런 법적 보호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DNR’,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계획서’**의 차이와실제 요양병원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안전한지까지, 종합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DNR은 더 이상 충분하지 않습니다**DNR(Do Not Resuscitate)**는▶ “심정지가 오더라도 심폐소생술을 하지 말라”는 의학적 지시입니다.▶ 대부분 보호자 요청이나 병원 내 양식으로 작성됩니다.▶ 하지만 법적 근거가 없으며, 환자의 자기결정권 확인도 없습니다.👉 즉, DN.. 2025. 6. 14.
🧠 알츠하이머 치매 : Amyloid-β, Tau의 정상 기능부터 병리 변화, 그리고 p-tau217의 진단적 가치까지 ✅ 1. Aβ와 tau의 본래 역할🔹 Amyloid-β (Aβ)의 기능Aβ는 **Amyloid Precursor Protein(APP)**이 효소에 의해 분해되며 생성되는 짧은 펩타이드입니다.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가 뉴런 바깥에 쌓이는 이유는, 그 생성과정이 세포막에서 시작되어 분해산물이 세포 밖으로 나가기 때문입니다. 원래 APP(Amyloid Precursor Protein)은 무조건 cleavage를 통해 필요한 신호전달 또는 분해 과정에 사용해요.🔄 절단 경로 두 가지: by secretases비-아밀로이드 경로 (α + γ 절단)정상 단백질 생성Aβ 안 만들어짐. 안전함.아밀로이드 경로 (β + γ 절단)Aβ 생성특히 Aβ42는 응집 잘됨 → 플라크 정상적인 뇌에.. 2025. 6. 9.
🧠 아밀로이드-베타와 타우, 왜 함께 다뤄야 하는가?- 치매 치료의 본격적인 변곡점 오늘은 이 두 논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알츠하이머(AD) 치료제로 도나네맙 등에 대해 이전 글들에서 다뤘는데요, 알츠하이머 증상은 주로 TAU 병리와 상관이 있으나 왜 Amyloid beta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가 지금 나왔고, 지금 치료는 그럼 완벽한지, 어디까지 와있는가에 대해 고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honeytea1215.tistory.com/86 치매는 정복될까? - Early AD DMTs - 레카네맙, 아두카누맙, 도나네맙알츠하이머병 초기 치료 약물: 아밀로이드 베타 항체의 종류와 사용 방법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은 초기 병리학적 특징인 아밀로이드 베타(Aβ) 플라크의 축적을 타겟으로 하는 **질병honeytea1215.ti.. 2025. 6. 9.
📘 요양병원 vs 요양원? 2025년 바뀌는 장기요양보험 제도,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복지부는 지난 제3차 장기요양기본계획(’23.8.)과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대책(’24.3.)을 통해 발표한 제도개선 사항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어르신들이 살던 곳에서 편안히 노후를 보내실 수 있도록 ▲중증 재가 수급자 이용 한도액 인상 ▲중증 수급자 가족 휴가제를 확대 ▲재택의료센터 및 통합재가기관 등 시범사업 확충을 추진한다. 더불어, ▲주·야간보호 기관 접근성 제고를 위한 특장차량 구비 지원금 지급, ▲유니트케어 시범사업 등 기관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의 현재 정책 방향이 여실하게 드러나는 문구입니다. 미리 요약하자면, 현재 건보는 적자를 향해 달려가고 있고, 노령인구는 늘어나니, 나라는 어르신들의 입원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정부에서는 치매안심센터나 방문요양등을.. 2025. 6. 7.
🩺 AI 의사 시대, 왜 MCP와 API를 구분해서 알아야 할까? 요즘 의료계에도 "AI"와 "자동화"라는 키워드가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두 가지 핵심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API와 MCP입니다. 많이 들어본 API는 익숙하지만,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생소할 수 있죠. 하지만 이 둘의 차이를 이해하면, 앞으로의 AI 진료 보조 시스템이나 디지털 헬스케어 창업에 훨씬 유리합니다.✅ 결론부터:API는 “병원 시스템끼리 연결하는 길”MCP는 “AI가 외부 도구를 똑똑하게 활용하게 해주는 시스템”📌 API란?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시스템끼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 ‘기능 호출 통로’입니다. 병원에서는 이미 수없이 쓰이고 있습니다.상황API 사용 예시건강검진 결과 → 환.. 2025.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