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공부

Phonemic word fluency vs Semantic word fluency

by 단풍국그린피는30달러 2025. 2. 7.
반응형

Troyer et al. (1998). Clustering and switching on verbal fluency: the effects of focal frontal- and temporal-lobe lesions. Neuropsychologia, 36 (6)

 

Dementia part를 공부하다 보면 자주 나오는 주제다.

chatgpt 한테 물어보면 아래처럼 대답해준다. 좋은세상이다..

 

단순히 생각할 때 쉽게 외우는 방법은, 단어를 담는 통은 Lt ant. temporal 쪽에 있는데 말을 하려면 frontral lobe쪽을 거쳐서 내려온다고 생각하면 쉽다.

 

phonemic은 발음하는거니까, frontal에 문제가 있으면 fluency가 떨어지게 되는 거다.

 

 

Phonemic Word Fluency (음운적 단어 유창성 검사)

Phonemic Word Fluency전두엽 기능(특히 좌측 측두-전두엽 네트워크)의 평가에 사용되는 신경심리검사


1. Phonemic Word Fluency란?

  • **음운적 단어 생성 능력(Phonemic Verbal Fluency)**을 측정하는 검사로, 주어진 자음이나 음절로 시작하는 단어를 제한된 시간(보통 60초) 안에 최대한 많이 생성하도록 요구.
  • 대표적인 예제:
    • "ㄱ"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1분 동안 최대한 많이 말하세요.
    • 영어의 경우 "F, A, S"로 시작하는 단어를 최대한 많이 말하세요. (FAS Test)

2. Phonemic Fluency는 어디를 평가하는 검사인가?

🔹 주요 평가 영역

  1. 전두엽(Frontal Lobe), 특히 좌측 전전두엽(Left Prefrontal Cortex)
    • 언어적 실행 기능(Language-based Executive Function)
    • 전두엽-기저핵 회로(Frontal-Subcortical Circuit)
    • 특히 **좌측 하전두회(Left Inferior Frontal Gyrus, Broca's Area)**와 관련
  2. 주의력 및 작업기억(Attention & Working Memory)
    •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고 기억하면서 말하는 능력 요구
  3. 인지적 유연성(Cognitive Flexibility)
    • 같은 패턴에 갇히지 않고 다양한 단어를 빠르게 떠올리는 능력

3. Phonemic Fluency를 저하시키는 질환

🔹 전두엽 & 실행 기능 손상과 관련된 질환

  1. 전두엽 손상 (Frontal Lobe Lesions)
    • 좌측 전두엽 병변에서 phonemic fluency 감소
    • 특히 뇌졸중(중대뇌동맥, MCA infarction) 시 영향 가능
  2. 전두측두엽 치매 (Frontotemporal Dementia, FTD)
    • 초기부터 실행 기능 저하 + 언어적 유창성 저하
    • **행동 변이형 FTD (bvFTD)**에서 두드러짐
  3.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 초기에는 의미적 유창성(semantic fluency) 저하가 더 두드러짐
    • 하지만 진행되면서 phonemic fluency도 감소
  4.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및 기타 운동장애
    • 기저핵-전두엽 연결(Basal Ganglia-Frontal Loop) 손상으로 감소
    • 다계통위축(MSA), 진행성핵상마비(PSP) 같은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에서도 저하
  5. 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 실행 기능 저하와 관련된 **인지 저하(Depression-related Cognitive Impairment)**에서 감소 가능

4. Phonemic Fluency vs. Semantic Fluency

(1) Phonemic Fluency (음운적 유창성)

  • 전두엽 기능(좌측 전전두엽)
  • "특정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말하시오."
  • 전두엽 손상 시 더 많이 감소 (예: 전두측두엽 치매)

(2) Semantic Fluency (의미적 유창성)

  • 측두엽 기능(좌측 측두엽, 해마 포함)
  • "동물의 이름을 1분 동안 최대한 많이 말하시오."
  • 알츠하이머병(AD) 초기에서 더 먼저 저하됨.

5. Phonemic Fluency 검사 활용

전두엽 기능 평가 (특히 실행 기능 및 언어적 유창성 평가)
치매 감별 (FTD vs. AD)

  • FTD → Phonemic Fluency가 더 심각하게 저하
  • AD → Semantic Fluency가 더 먼저 저하
    전두엽 손상, 파킨슨병, 우울증 관련 인지 저하 평가

💡 결론

Phonemic Word Fluency는 좌측 전전두엽(Left Prefrontal Cortex)의 언어적 실행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 전두측두엽 치매(FTD),
  • 전두엽 손상(뇌졸중, 외상 등),
  • 파킨슨병 및 기타 신경퇴행 질환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알츠하이머병에서는 의미적 유창성이 먼저 저하되지만, 병이 진행되면서 phonemic fluency도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