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공부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의 진단부터 최신 치료까지– Inebilizumab의 등장과 MINT 연구 요약

by 단풍국그린피는30달러 2025. 6. 24.
반응형

25년 April NEJM에 publish된 MINT Trial에 대해 다뤄 보았습니다. 

 

🔍 진단: 흔하지만 놓치기 쉬운 자가면역 질환

 
Myasthenia Gravis (MG)는 신경근 접합부에서 항체가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 혹은 MuSK(muscle-specific kinase) 등을 공격해 근육 약화를 일으키는 자가면역질환이다.

  • 증상은 diurnal variation이 크고, 운동 후 악화(rest 후 호전)하는 게 특징
  • 대표 증상: 안검하수, 복시, 구음장애, 사지 및 호흡근 약화
  • 신경학적 진찰에서 Fatigability를 확인하고, edrophonium test(tensilon test), RNS, AChR/MuSK 항체 검사, 흉부 CT (thymoma 여부) 등으로 확진 가능

🧬 분류

  1. Ocular MG
    • 눈 증상만 (복시, 안검하수)
    • 약 10~15% 정도, 이 중 다수는 수개월 내 generalized type으로 진행함
  2. Generalized MG (gMG)
    • 사지, 구음, 호흡근 포함
    • 전체 MG 환자의 약 85% 차지
    • 항체 양성에 따라 또 나뉨:
      • AChR+ (80%)
      • MuSK+ (7–10%)
      • 항체 음성 (sero-negative)

💊 기존 치료: 대증부터 면역억제까지

  • Pyridostigmine: 증상 개선 (콜린에스터레이스 억제제)
  • 스테로이드: 1차 면역조절제, 단 장기 사용시 부작용
  • 비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azathioprine, mycophenolate mofetil 등
  • Rituximab: CD20+ B세포 타겟 (MuSK+에서 효과 좋음으로 알려짐)
  • FcRn 억제제: efgartigimod, rozanolixizumab 등 (IgG 감소)
  • Complement inhibitor: eculizumab
  • Thymectomy: AChR+이고 <50세인 경우 고려

⛔ 하지만 약 15% 환자는 기존 치료에 반응이 불충분하거나 부작용으로 지속 치료가 어려움 → 새로운 치료 옵션 필요


🧠 새로운 치료의 등장: 이네빌리주맙 (Inebilizumab)

  • CD19+ B세포를 타겟하는 모노클로날 항체
  • 기존의 rituximab (CD20 타겟)은 plasmablast·plasma cell에는 한계
    → 반면 CD19는 더 넓은 B세포 계열 포함 → 항체 생성 억제 더 강력
  • 이미 Neuromyelitis optica spectrum disorder (NMOSD)에 승인됨

🧪 MINT(Myasthenia Gravis Inebilizumab Trial)  연구 요약 (NEJM 2025)

  • 디자인: 다국적, 3상, 무작위,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 대상: AChR+ 또는 MuSK+ gMG 환자 238명
  • 치료: Inebilizumab 300mg IV, 1일·15일 투여
    (AChR+는 183일에도 추가), 총 26–52주 추적
  • 평가도구:
    • MG-ADL (환자 보고 기능 점수)
    • QMG (근력 정량 점수)

📈 주요 결과 (Week 26 기준)

평가지표 Placebo Inebilizumab p value
MG-ADL 변화량 −2.2 −4.2 <0.001
QMG 변화량 −2.3 −4.8 <0.001
≥3점 호전 비율 48.2% 68.7% 유의
부작용 발생률 73.1% 80.7% 경미한 차이
중증 부작용 13.4% 8.4% 오히려 낮음
 
  • AChR+ 뿐 아니라 MuSK+ 환자에게도 효과적
  • 효과는 52주까지 지속
  • CD20+ B세포 빠르고 지속적으로 소실됨

💡 요점 정리

  • Inebilizumab은 MG 병태생리에 근거한 최초의 CD19+ 타겟 치료제
  • 기존 치료의 한계를 보완할 신규 면역치료 옵션
  • gMG 환자에서 MG-ADL/QMG 점수 모두 의미 있게 호전
  • 안전성도 양호, 부작용 비율은 위약군과 유사
  • 특히 rituximab에 반응이 부족한 환자에서 좋은 대안 가능성

📚 참고 문헌

  • Nowak RJ et al. A Phase 3 Trial of Inebilizumab in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 N Engl J Med. 2025;392:2309-2320.
  • Narayanaswami P et al. International Consensus Guidance for Management of MG: 2020 Update. Neurology. 2021;96:114–122.
  • Yi JS et al. B cells in the pathophysiology of MG. Muscle Nerve. 2018;57:172–184.
반응형

댓글